Advertisement banner image
Advertisement banner image
Image at ../data/upload/0/2782750Image at ../data/upload/8/2781778Image at ../data/upload/1/2780071Image at ../data/upload/0/2778730Image at ../data/upload/7/2778607Image at ../data/upload/5/2770725Image at ../data/upload/6/2770046Image at ../data/upload/6/2769666Image at ../data/upload/9/2769459
Sub Page View
Today Page View: 146,905
Yesterday View: 889,716
30 Days View: 1,161,158

자동차 브레이크 슈 질문(14)

Views : 3,483 2023-11-27 07:46
질문과답변 1275475779
Report List New Post
안녕하세요.

일반적인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는 외부에서 볼수도 있고, 거의 닳게되면 브레이크 밟을때 마다 끽이익끽 소리가 나게 되어 있고,계기판에 브레이크등이 켜지게 되잖아요.

근데 뒷바퀴 드럼식일 경우에는 어떻게 브레이크 슈를 확인 할수있을까요?
(뒷바퀴 빼고 드럼 뚜껑 열고 안에 큰 나사 풀고 확인하면 되는데 나사가 상당히 세게 조여져 있어 일단 관뒀습니다)
드럼식 브레이크 슈도 거의 닳게되면 계기판에 브레이크등이 켜지거나 혹은 어떠한
확실한 증상이 있나요?

인터넷 검색 해보니 보통 앞바퀴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보다 뒷바퀴 브레이크 슈 수명은 2배 정도 된다는데
제 차가 새차에서 4만 넘어 앞바퀴 브레이크 패드를 갈았으니
(4만에 갈았을때도 좀 남아있어서 알뜰하게 쓰면 5만도 가능)
뒷바퀴 브레이크 슈는 7-8만 까지 가능할까요?
인공지능 답변
안녕하세요!

드럼식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슈는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와 달리, 외부에서 보기가 어렵습니다. 보통 차량의 드럼 커버를 제거해야 내부의 브레이크 슈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나사가 꽉 조여 있어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점검이 어렵고 전문가나 정비소에서 점검을 해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드럼식 브레이크 슈의 마모 정도를 가리키는 명확한 계기판 경고등이나 증상은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처럼 통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몇몇 차량은 브레이크 슈가 심하게 마모되었을 때 경고등이 켜지기도 하지만, 모든 차량이 그런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며, 보통 소음이나 제동 성능 감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드럼식 브레이크의 수명이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보다 보통 더 길다는 것은 맞으나, 정확한 교체 주기는 차량의 종류, 운전 스타일, 주행 환경, 브레이크 슈의 재질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보통 앞바퀴 브레이크 패드가 적당한 상태에서 약 4만 킬로미터를 지났을 때 교체한 경우, 뒷바퀴의 드럼식 브레이크 슈는 보다 오래 지속될 수는 있으나 7-8만 킬로미터까지 가능할지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앞바퀴 브레이크 패드 교체 시 또는 정기점검 시에 뒷바퀴의 브레이크 슈도 함께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하다면 자동차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마모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교체를 진행하는 것이 안전 운행에 도움이 됩니다.
  본 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Report List New Post
김치아빠 [쪽지 보내기] 2023-11-27 08:28 No. 1275475786
차종이 뭔진 모르겠지만 소리가 난다고 교체해야 하는것도 아니고 브레이 경고등이 차마다 다 있지도 않다보니 사실 육안으로 확인하는게 가장 좋죠. 사람마다 운전 습관이 다 달라서 브레이크 교체 시기도 많이 차이 나니까요. 드럼브레이크는 육안 확인 구멍이 있긴한데 전문가가 아니면 좀 알아보기 힘듭니다. 한국에서는 15~16 만 키로 씩도 타기도 하는데 글쎄요... 그런데 보통 10 만 키로 이상은 탑니다.
bannn [쪽지 보내기] 2023-11-27 08:54 No. 1275475794
@ 김치아빠 님에게...
아 10만 이상이요. 고맙습니다.
마닐라랜트카 [쪽지 보내기] 2023-11-27 08:34 No. 1275475789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지만 트럭같은경우 앞브레이크는 디스크

뒷 브레이크는 드럼입니다

잘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구요 사이드 브레이크를 내려도

계기판에 사이드 브레이크 표시등이 들어오면

뒷 드럼브레이크 페드가 다된거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아주 쉽죠 ^^
bannn [쪽지 보내기] 2023-11-27 08:56 No. 1275475795
@ 마닐라랜트카 님에게...
아 드럼식 브레이크도 교환시기오면 브레이크 등이 켜지나보네요.
고맙습니다.
마닐라랜트카 [쪽지 보내기] 2023-11-27 10:05 No. 1275475822
@ bannn 님에게...
넵 사이드브레이크 등이 들어와서 싸이드브레이크를 내려도 그등이 꺼지지 않으면

라이닝이 다된거에요
bannn [쪽지 보내기] 2023-11-27 14:57 No. 1275475908
@ 마닐라랜트카 님에게...
넵 고맙습니다.
tte Lo [쪽지 보내기] 2023-11-27 09:27 No. 1275475809


사이드브레이크의 레버(풋페달타잎일경우 사이드브레이크 페달)가
많이 올라가거나 끝까지 당겨도
사이드브레이크가 밀리면 교환시기가 된것이구요.

최소한 1년에 한번정도는
드럼개방해서 브레이크휠실린더상태 점검하고
드럼안에 분진제거와 슈간극조정하면
좋습니다.

뒷 허브너트는 분할핀 타잎의 콘베어링과
통베어링타잎이 있으니 정비사에게
맡겨야합니다.
잘못작업하면 뒷바퀴 불나거나
바퀴통째로 빠져나옵니다.
Pogiman [쪽지 보내기] 2023-11-27 19:44 No. 1275475975
@ tte Lo 님에게...
동감입니다. 사이드브래이크를 5단 이상 넘겨야 된다면 뚜껑까야 된다고 봅니다.
bannn [쪽지 보내기] 2023-11-27 14:53 No. 1275475903
@ tte Lo 님에게...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뒷바퀴쪽 점검은 정비사 한테 맡기겠습니다.
김치아빠 [쪽지 보내기] 2023-11-27 09:40 No. 1275475810
@ tte Lo 님에게...
떼로님 말씀이 정답이라 생각합니다. 사이드 땡기고 밀린다? 슈 교환시기가 된거죠. ^^
tyng [쪽지 보내기] 2023-11-27 11:29 No. 1275475853
뒷바퀴 탈착후 디스크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레코드 판 결생긴것 처럼 되어 있으면 무조건 교체 하세여..
라이닝이 갉아 먹는중이거든요
김치아빠 [쪽지 보내기] 2023-11-27 11:36 No. 1275475854
@ tyng 님에게...
그건 디스크 브레이크요. ^^ 드럼은 슈가 커버 안에 들어 있어서 분해 전에는 만질 수가 없습니다.
tte Lo [쪽지 보내기] 2023-11-27 12:37 No. 1275475867
사이드브레이크 경고등이 사이드를 내려도
점등되는 경우는 보통 두가지 경우입니다.

1.패드소모때문일때
A.네바퀴모두 디스크타입의 경우

전륜 또는 후륜의 브레이크 패드가
모두 닳은 경우,

B.후륜이 드럼타입일 경우
전륜브레이크 패드가 다닳았을 경우
후륜의 브레이크 슈가 다닳았을때는
거의 점등안됩니다.
이유는 뒷휠실린더의 브레이크오일 저장량이
적어서 입니다.

2.브레이크 유압계통이 터졌을 경우.
이경우 브레이크 페달이 쑥쑥 들어갑니다.
위험하니바로 정비업소 입고해야합니다.

사이드브레이크 경고등과 별도로
브레이크 점검경고등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경우는 사이드브레이크 경고등은 안뜨고
브레이크 점검경고등으로 대체됩니다.
bannn [쪽지 보내기] 2023-11-27 14:57 No. 1275475907
@ tte Lo 님에게...
넵 고맙습니다.
질문과답변
No. 110278
Page 2206
 . 도토리묵 21,131 25-05-02